제1장  의전이론(Theory of Protocol)

◈. 서언

가. 과목의 중요성

국제행사(Convention business)는 성장산업이다. 국제행사에서 국제매너와 프로토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크다. 의전(Protocol)은 예절(Etiquettes)에서 출발하여 행사(Events)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역사의 발전과정에따라 예절개념이 정치 및 법률과 분리되면서 독립적인 의전개념이 형성되었다. 우리는 형식을 갖춘 예절을 의례(Formal etiquette, Courtesy)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 의례는 예절중에서도 의전업무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따라서 의례는 광의의 예절에도 포함되며 의전의 일부라고도 할수도 있다.

근자에는 국가기관등을 중심으로 의전비서라는 직책이 일반에게도 널리 알려지는 등 의전업무전체가 각론별로 구체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으나 의전업무는 아직도 실무적 성격이 강조되어 총괄적인 이론정립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제회의의 확대, 이벤트의 발전 등으로 각 분야별로 의전업무의 개념정립이 시도되고 있다. 표지의 Ben Diagram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절이 행사업무 또는 비서업무와 결합이 되면 격식이 높아지면서 의전업무가 된다. 누구든지 고차원적인 의전감각을 갖고 있으면 유능한 행사전문가 또는 의전비서가 될 수 있다.

나. 주요 관심 사항

본서는 주로 국제행사에서 의전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므로 전반부에서는 기본개념(Basic concepts), 국제매너(International Manners), 각급의례(Formal etiquettes)의 순서로 설명한다.  제1편에서는 본격적인 국제매너(International manners)와 국제의전(International protocol)에 들어가기 이전에 의전에 대한 기본개념과 관련용어, 행사에 대한 기본개념, 행사운영 요령, 경호경비에 관한 개념등에 관하여 먼저 알아 보기로 한다. 다소 이론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있으므로 상식적인 수준에서 본서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예절의 개념, 의전의 개념, 행사의 개념을 중심의로 참고할 것을 권고한다.

1. 예절의 개념

가. 예절용어(Terminology of Etiquette)

    (1) 예절(禮節)
예절은 예의범절의 준말이다. 공자(孔子)는 2천5백년전 예학의 원전인 예기에서「예(禮)」란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를 말하며, 「예의(禮儀)」란 상대방에게 예(도리)를 나타내는 말과 몸가짐(행동)이라 하였다 「범절(凡節)」이란 인간생활에서 대인적 어투와 동작의 정해진 꼴을 의미한다. 따라서「예절(禮節)」이란 상대방의 마음을 다치지 않도록 공손하게 예를 나타내는 마음가짐을 표현하는 말과 행동에 관하여 정해진 약속의 준수이다.
 
    (2) 에티켓(Etiquette)
에티켓(Etiquette)의 어원은 루이 14세 때 베르사이유 궁전에서 「화원(花園)을 다치지 않도록」이라고 적혀있던 푯말(입간판,立看板, A Ticket)에서 그 어원을 찾을수 있다. 또한 선량한 행위기준(rules of good behaviour)에 따라 재판순서를 적은 티켓(A Ticket)을 발급하면서 동 기준을 에티켓(Etiquette)이라고 불렀다. 예절(禮節)과 에티켓(Etiquette)은 본질적으로는 같은 내용인데 동서양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발전되어 용어사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식사예절」은 우리의 전통예절을 의미하고 「파티에티켓」은 외래예절을 의미한다.
 
    (3) 매너(Manners)
영어의 매너(Manners)와 불어에서온 에티켙(Etiquette)은 동의어이다. 예절용어중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절(Etiquette)」이라는 용어가 가장 기본 용어이다. 그러나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매너라는 용어가 유행되고 있다. 영어에서 매너(Good Manners)는 풍습(Customs), 예절(Etiquette)을 의미하는데 반하여, 단수 형태로서의 매너(Manner)는 방식(Method).몸가짐(Bearing).태도(Additude)를 의미한다.  한국에서의 외래어인 「매너」는 이 두가지 의미를 모두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매너는 그 어원에서 풍기는 바와같이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독특한 습관, 몸가짐, 마음 씀씀이 등의 의미를 포함하며, 형식이나 원칙을 수반하는 「예절(Etiquette)」과는 좀 다른 뉴앙스를 갖는다.
 
    (4) 의례(Courtesy, Formal Etiquette)
의례(儀禮)란 형식을 갖춘 예절로서 특별한 의식(儀式)하에서의 형식을 중요시 한다. 예절이론에서는 학문적 성격을 갖는 예절이 중심개념이지만 의전이론에서는 실천적 성격을 갖는 의례가 중심개념이다. 의례(依例)라는 용어는 의전례(依前例)의 준말로서 전례에 따른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의전에서는 전례(前例) 또는 관례(慣例)에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례적(儀禮的)과 의례적(依例的)을 같은 의미로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천주교에는 전례위원회가 있다. 여기에서 전례(典禮)라는 용어는 의식(儀式) 또는 의전(儀典)과 동의어 이다.
 
    (5)의전예절(Protocol Etiquette)
의전예절(儀典禮節)은 의전업무에 관련되는 예절이라는 뜻으로서 다분히 이론적인 용어인데, 국내의 다른 의전서적에서도 종종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의전예절은 비서예절(경조예절, 직장예절), 행사예절(가정의례, 국가의례), 연회예절(복장예절, 음식예절)등 그 내용이 방대하다
 
    (6) 용어의 비교
국민의례중 "국기에 대한 예절"은 예절, 의례, 의전중 어느 개념에 속하는 것일까? 이것은 이름은 예절이지만 내용은 의례인데 의전에서는 빼어놓을 수 없는 항목이다. 이와같이 예절용어는 전문분야에서 조차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의례와 매너는 예절과 의전의 중간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의전이라는 용어가 일반에게 덜 알려진 전문용어이지만 예절과 의전은 그 개념의 구분이 비교적 용이하다. 예절은 주로 사적관계의 규범(도리)으로 그리고 의전은 주로 공적관계의 기준(절차)으로 구분하는 학자도 있다.

구 분

주 요 영 역

참 고 사 항

 예절(Etiquette)   예절전반

 광의의 예절

 

 매너(Manners)  행동예절

 광의의 의전

 의례(Informal etiquette)  의식예절
 의전예절(Protocol etiquette)  의전업무

 

본서의 내용이 국제매너와 국제의전을 모두 포함하는데 "국제의전개론"이라는 명칭을 선정한 배경에는 의전의 개념을 광의의 의전으로 사용한 때문이다

 


나. 예절이론의 발전
 
한국의 예학은 역사가 길고 그 내용도 매우 방대하다. 예절의 종류는 이론체계의 발전과정에서 대두된 예절의 본질, 목적, 성격, 영역, 방법, 기능, 형질등에 의하여 실로 여러 가지로 광범위하게 구분되어 질수 있다. 그러나 본서는 예절서적이 아니므로 의전예절에 관련된 사항만을 중심으로 간략히 설명한다.
 
    (1) 예절영역의 분류  
        ○기본영역: 수신예절, 가정의례, 사회예절, 국민의례, 국제의전
     생활영역: 기본예절, 개인예절, 가정예절, 직장예절,사회예절
○의전영역: 비서예절, 사교예절, 행사의례, 복장예절, 음식예절(식탁매너)
 
    (2) 예절이론의 다양화
         ○서비스 예절: 백화점(유통), 레저산업(도우미), 요식업, 병원, 은행 등 서비스산업
○비지네스 예절: 세일즈예절, 불만처리, 친절한 AS 등 기업경영 관점 위주
○국제매너: 악수, 명함, 테이블 매너, 사교예절, 각국문화 등 국제의례 가미
 
    (3) 예절이론의 혼합
         ○서구문화의 유입으로 전통예절의 변천되고 민간의례는 현대화
○국제화의 물결로 동양예절과 서구예절이 혼합되어 국제매너가 중요시
○고개만족 경영을 위한 친절비지니스 및 비지니스 에티켙의 발달
 
다. 예절과 의전

    (1) 공통점서양예절은 사회예절을 중심으로 발전되었으나 한국의 예절은 생활예절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발전되었다. 생활예절이란 우리가 생활하는 방식을 약속해 놓은 것으로서 ①기본예절, ②개인예절 ③가정에절 ④직장예절 ⑤사회예절로 분류되고 있다. 생활예절과 의전예절을 대비한 아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전의 출발점은 예절이며 의전영역의 일부분과 예절영역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한다는 사실에서 공통점이 있다.


< 생활예절과 의전예절>

 

구 분

생 활 예 절

의전예절

매너/예절

각급의례

행사예절

기본 예절

①배례법(절, 경례)
②친족과 촌수
③호칭어와 지칭어
④의사소통에 대한 예절

 

민간의례

 

개인 예절

①마음가짐과 표정
②몸차림과 옷차림
③몸가짐과 기거동작
④물건다루기

복장예절
비서자세

기업의례

 

가정 예절

①어른의 도리
②어른을 모시는 예절
③부부간의 예절
④자녀에 대한 예절지도
⑤일가친척간의 예절

 

가정의례 

가정행사

직장 예절

①직장인의 정신예절
②직장인의 자기관리
③직장에서의 대인관계
④직장에서의 근무예절

비서예절

기업의례

 

사회 예절

①소개와 인사
②초대와 방문
③경조에 관한 예절
④공중도덕과 집회예절

사교매너
복장매너,
식탁매너
음주매너

국가의례
국제의례

 의전행사
각종연회

    (2) 차아점

일상생활의 예의절차를 공식행사에 적용하면 의전이라고 할 수 있다. 예절은 개인간에 만이 적용되는 경향이 있고 의전은 주로 조직에 적용되는 특성이 있다는 사실에서 차이점이 있다.
라. 예절과 규범
 
우리는 착하고 좋은 사람을 가리켜 '법 없어도 살 사람'이라고 한다. 예절은 우리가 약속해 놓은 잘잘못의 판단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법은 예절을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을 강제로 바르게하려는 최후의 수단이며 최소한의 도덕률이다. 때문에 예절을 실천하는 사람에게는 법이 필요없는 것이다. 따라서 법이 없어도 살 사람은 예절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은 법이 없어도 살지만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사람은 가혹한 법으로도 다스려지지 않는다.
 
   (1) 예절과 규범
예절(禮節)은 상대방의 마음을 다치지 않도록 공손하게 예를 나타내는 마음가짐을 표현하는 말과 행동에 관하여 정해진 약속의 준수로서 일종의 규범 이다. 규범(norm)이란 철학에서, 판단,평가.행위 등의 기준이 되는 것을 얘기한다. 관습법이란 오랜 관행이 국민의 법적확신을 얻어 법적규범으로 승인받는 경우를 말한다.
 
   (2) 예절과 도덕
예절은 도덕과 마찬가지로 규범적이므로 일종의 명령이다. 예절과 도덕은 모두 인간의 상호관계에서 요구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끔 혼동되어 인식되기도 한다. 예절과 도덕은 매우 비슷하여 많은 사람들의 같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도덕적 요구는 어느시대 어느사회에서도 상당할 정도로 타당한 반면에 예절은 특정한시대 특정한 사회에서만 타당성을 갖는다. 윤리와 도덕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윤리는 도덕을 개념화하며 체계화시킨 것이다. 예컨대, 도덕적이라고 말할 때 그사람의 행동은 어떤 윤리적 기준에 부합한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3) 예절과 법률
예절과 법률의 차이는 여러가지이다. 예절의 형성과정은 뚜렷하지 아니하나 법률은 의식적으로 제정된다. 예절을 지키지 아니하면 사회적 비난에 불과하나 법률은 순응하지 않으면 물리적 제제력을 갖는다. 도덕과 예절은 법률에 비하여 훨씬 더 자율적이란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법의 강제력으로 사람의 행동을 규제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모독이라 할수 있다. 그러므로 예절바르고 도덕적이 되어서 법률규제가 많지않아도 질서가 유지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예치와 법치
법도 생활규범임에는 예절과 다름 없기 때문에 법치주의가 확립되기 이전의 법은 예절의 일부로 이해되었다. 과거의 통치방법은 예치(禮治)중심에서 법치(法治)중심으로 이행하여 왔다. 따라서 현대의 법치주의 아래서는 법과 예절이 엄격히 구분된다. 그러나 아직도 동양의 정서는 예치에 대한 관념이 우리의 생각을 많이 지배하고 있다.
 
    (5) 의전과 법률
예절은 뒤에 설명되는 의전과 본질적인 공통점을 갖기 때문에 의전업무를 법제화 하는데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법은 죄와 벌을 규정해 놓고 타율적으로 강요하는 데 반하여 의전은 예절과 같이 자율적.관례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경조의례를 법으로 규제하여도 잘 지키지 아니하고 관습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고, 의전업무를 어렵게 하는 좌석배치를 위하여 의전서열을 규정화하는데에도 한계가 있으며, 의전관례 또한 특정한 상황하에서는 도덕률이나 법률과는 달리 그 타당성이 변화되기도 한다.
 
2. 의전의 개념
 
가. 의전의 기능
 
의전은 의례와 행사의 이행과정에서 규범과 기준의 불이행으로 야기되는 혼란방지(to prevent chaos)를 목적으로 관습(customs), 의례(courtesy), 형식(form), 절차(procedure), 규례(rules)를 동원하여 인간관계를 원만히 하고, 행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의전업무는 행사단계의 모든 분야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제반사항을 점검.확인하는 임무를 갖게된다. 의전은 예절에서 시작하여 행사에서 진가를 발휘하게 되는데,  소극적 기능은 행사업무의 지원기능에 한정하는 것이며 적극적 기능은 행사전반의 조정통제기능으로 확대된다. 특히 국가의전은 국가위상과 권위를 확고히하고 국민적 통합과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의전기능을 한 분야로 국한 시킨다면 의전행사(개폐회식, VIP참석행사등)가 주요 업무가 된다.
 

나. 의전의 유래

     (1) 동양의 의례

중국에서는 이미 기원전 11세기경 周나라때 백성을 다스리는 군자의 덕목으로 또는 제후들을 다스리는 천자의 지도원리로서 ‘禮’를 내세웠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조선조 500여년 동안 ‘禮法의 나라’라고 할만큼 의례가 강조되었다. 의례는 일반적으로 국가의 기강을 확립하는 시기에 예절과 함께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의 세조때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편찬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6전(典)중 예전(禮典)에는 의장(儀章 : 복식), 의주(儀註 : 국가의 전례의 절차를 설명한 것), 조정의 의식, 국빈을 대접하는 연회, 중국 및 기타 외국사신을 접대하는 방식, 제례, 상장(喪葬) 등 의전사항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너무 형식에 치우치고 절차가 복잡하여 실생활에서 부적당한 점이 많아 실행되지 못한 바가 있었다.


     (2) 서양의 의전
서양에서는 의전(Protocol)이란 용어는 그리스어의 「Protokollen(Protos+Kolla)」즉 「첫번째 접촉(The First+Glue)」, 즉 최고의 접착제 또는 윤활유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어 오늘날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서양에서의 의전의 발전은 나폴레옹 전쟁 후인 19세기초 이후 확립되어 왔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국제의전에 관한 원칙이 나폴레옹 전쟁 후 에 개최된 1815년 ‘비엔나 회의(Vienna Congress)’에서 처음으로 정해지게 되었고, 그 후인 1961년에 체결된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정’에서 구체화되어 오늘날과 같은 의전 관행이 전세계로 전파하게 되었다. 이 원칙에는 여러 나라의 국기를 게양할 때에는 주최국 국기를 가장 중앙에 놓고 나머지 국가의 국기는 영문 알파벳 순으로 게양하며, 대사(大使)들 간의 서열은 그 해당 주재국에 신임장을 먼저 증정한 순으로 한다는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다.. 의전의 정의

 
의전의 개념이 추상적이고 어려운 이유는 의전을 구성하는 내용이 광범위하게 상호연결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전요소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순수의전과 복합의전으로 구분하지 못한 경우에도 개념의 혼란을 가져온다. 또한 의례를 중심으로하는 전통적 개념과 행사영역을 포함하는 현대적 개념을 간명하게 통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그만큼 여러분야에서 제각기 분야별 특성을 강조하는 관계로 의전의 정의가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다.
 

(1)사전적 정의

 
          □ 국어사전:
우리나라에서는 의전(儀典)이라는 의미가 본래 ①의례(儀禮)를 갖추어 베푸는 식전(式典)을 일컽는 말로서 처음에는 의식(儀式)과 동의어로서 사용되어 왔으나, 근자에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②격식(格式)을 갖추어 행사(行事)를 거행하는 규범이라는 의미 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로 포괄적인 정의를 내린다면 의전(儀典)이란 의례와 격식(formality)을 갖추어서 행사를 거행하는 기준이라고 할수 있다. 여기에서 의례를 갖추었다는 이야기는 형식과 절차를 구비하였다는 의미이다.
 
          □ 영어사전:
영어사전에서도 프로토콜(Protocol)은 두가지의 뜻을 갖고 있는데 옥스포드 대학의 혼비 사전의 정의에 의하면 그 하나는 ①계수명사로서 의정서(議定書: an aggrement signed between countries)를 의미하며, 또 다른 하나는 ②불계수명사로서 외교의례절차(外交儀禮節次: code of behaviour; etiquette as practiced on diplomatic occasion; rules of procedure)를 의미한다.
 
          □ 컴퓨터 사전
인터넷 프로토콜(Protocol)이란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통신규약이란 통신망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통신망과 단말사이의 형상, 문자코드, 전송절차 등에 관한 약속을 가르킨다. 절차를 의미한다는 관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2) 실용적 정의:

 

           □ 협의의 의전 (매너,의례)

의전이란 윤활유와 같은 것으로서 그 자체가 에티켓과 상식이 적절히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 하나의 태도이며 모든 행사에서 주최자와 참석자 모두의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규범이다. 따라서 모든 의전요원은 진심에서 우러나는 따뜻한 환대와 세련된 매너가 필요하다
오늘날 민간부문에서 국제회의기획, 전시행사기획, 이벤트기획등 행사업무를 관장하는 전문회사가 등장하면서 행사업무와 의전업무를 구분하여 행사기획에 직접관련되는 부분은 행사의 개녕으로 그리고 국제매너, 정부포상, 국가상징물, 귀빈영접 등에 관한 부분만을 의전의 개념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모든 행사는 그 품격을 높히거나 그 규모가 커지면 의전요소가 증가하여 의전행사화하게 되므로 협의의 개념으로는 의전업무를 모두 설명하기가 어렵다.

 

 


 □ 광의의 의전 (행사절차)

VIP가 많이 등장하는 대규모 행사에서는 의전요소는 증가하게 되며 개폐회식, 메인연회와 같은 단위 의전행사가 많이 등장한다. 따라서 행사의례뿐만 아니라 의전행사의 추진기준을 포함하여 현대적 의전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올림픽에서는 「대회에의 초청으로부터 신분증명, 좌석배치, 올림픽기 및 성화, 각종 의식(Ceremony), 시상등에 있어서의 절차, 규정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헌장 제4장 제8절). 정부기관중 의전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에서는 의전행사의 기준설정. 의전행사의 관례, 행사를 집행하는 모든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하여 국가의례와 국제의례는 물론 대부분의 대형 행사를 기획하고 집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의전의 개념에 포함하고 있다. 본서는 의전에 관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광의의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3) 교과서적 정의

          □ 고전적 정의:
의전업무는 인류문화의 변천에 따라서 끈임없이 변화하는 속성이 있다. 의전용어(terminlogy)도 시대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새로히 만들어지기도 하고 소멸되어 지기도 한다. 전통사회에서의 의전업무는 의례분야가 중심이었는데 국어사전과 영어사전의 차이에서 보듯이 유교문화와 생활예절을 중시하던 한국의전은 혼례의식, 장례의식 등과 같은 예절의식(ceremony)으로 정의하였으며 파티문화와 사교예절을 중시하던 서양의전은 외교행사절차, 공식연회절차 등과 같은 의례절차(procedure)로 정의 하였다.

          □ 현대적 정의:
의전업무가 고도화된 외교편람에서는 의전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국제의례(the recognixed system of international courtesy)라고 정의하고 있다. 좀더 구체화하면 좁은 의미로는 국가행사, 외교행사, 고위인사의 방문과 영접에서 행해지는 국제의례이며 넓은 의미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개개인이 지켜야할 예의범절을 포함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올림픽 분야에서는 의전을 참가자의 초청으로부터 신분증명 발급, 좌석배치, 올림픽기 및 성화, 각종의식, 시상 등에 있어서의 절차와 규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 본서의 정의:
현대사회에서는 산업구조가 다양화 되면서 의전업무의 내용이 예절업무에서 확대되어 행사업무와 비서업무로 영역을 넓히면서 의전용어도 구체화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각각의 관련분야에서의 내려진 단편적 정의들이 점차 수렴되어 의례, 절차, 권위 등을 구성요소로 하여 그 정의가 통합되어가고 있으며 이를 입증하는 표현을 여러군데서 찾아 볼수 있다.

본서에서는 「의전이란 예절, 행사, 비서의 혼란방지를 위하여 관습, 형식,규칙, 격식, 절차, 규정을 효율적으로 조화시켜 행사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준」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를 좀더 쉽게 표현하면 「의전이란 예절과 격식을 갖추어 주요 참석자를 모시고 행사절차를 원만하게 처리하는 기준」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의전(protocol)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약속(Promise)이라고 정의해도 무리가 없다.

   라. 의전의 특성

 
John Quincy Adams는 상식적 고려(commonsense and consideration)가 의전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한때 의전장(Chief of Protocol)을 역임한 바 있는 미국의 초대 대통령(George Washington)은 존경을 받으려면 공적권위(official formality and dignified etiquette)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어느 저자는 의전은 공적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한다(protocol serves as a useful guide on how to behave in official relations)고 표현하였다. 이와같이 의전의 목적, 정의, 본질, 속성 등에서 본 바와 같이 몇가지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할수 있다.
○관습과 상식과 의례를 기반으로 한다.
○절차와 격식과 정확성을 요구한다
○권위와 규정과 조화를   필요로 한다.
 
3. 의전업무의 분류
 
  가. 분류의 기준
 

의전의 정의가 통일되지 아니하고, 이론정립이 미비하며, 제대로된 종합서적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는 아직도 의전업무가 발전을 계속하는 상태이며 의전업무의 내용과 의전업무의 성질을 규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서는 다음과 같이 의전업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서 의전업무를 구분하고 있다

 


(1)의전업무의 내용

 □ 관련분야:

표지에도 소개된 바 있는 벤 다이어그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절분야(1), 행사분야(2), 비서분야(3)가 의전업무를 야기하는 관련분야이다.

 □ 중심분야:  

관련분야가 서로중첩되는 (4),(5),(6),(7)은 의전업무를 구성하는 의전업무의 중심분야라고 할 수 있다.

 □ 개념중복:

관련분야와 중심분야가 서로 중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분야(4)는 의전예절이면서 의전행사며, 분야(5)는 의전예절이면서 의전비서이며, 분야(6)은 의전행사이면서 의전비서이며, 분야(7)는 모든 분야에 해당된다. 따라서 각각 자기분야를 중심으로 의전업무를 설명하고, 의전업무는 여러분야에서 중복설명되어, 독자들은 개념상 혼란을 갖게된다.


(2)의전업무의 성질

 

동일한 내용의 의전업무도 의전요소(의전특성)의 형태와 의전요소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순수의전과 혼합의전으로 구분되며 의전업무의 성격도 달라지게 된다. 예절은 기름과 같다(good manners are the oil )라고 표현한 사람도 있으며, 예절은 문화시민의 속성이다(good manners are the natural attributes of a civilized person)라고 이야기 한 사람도 있다. 이와 같이 의전업무의 특성은 매우 보수적이면서도 상황에 따라서는 융통성의 발휘가 필요하다. 그래서 의전업무는 어려우며 전문가 또는 전문부서를 필요로한다(§1.5 의전업무 추진요령 참조).
○의전업무는 순간적이며 지나간 오류는 되돌이킬 수 없다.
○이질적인 요소를 종합하는 타협과 조정을 이끌어 내야한다.
○관례와 경험이 중요하나 시대의 흐름에 적응해야 한다.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3)총론과 각론

 

내용과 성격이 서로 다른 의전업무를 체계적으로 종합하되 각론으로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본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몇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다. ①중심분야의 중복설명을 줄이기 위해서 업무비중이 적은 쪽에서는 간략히 언급만 하고 업무비중이 많은 쪽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②관련분야와 중심분야를 구분하는 기준은 이웃 관련분야와 상호중첩되어 의전적요소를 많이 함유하느냐의 여부이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그 경계선이 매우 애매하다. 이러한 기준에 의하면 예절업무중 의전업무와 연관성이 많은 부분이 의전예절업무가 되며, 행사업무 및 비서업무중 의전업무와 연관성이 많은 부분이 의전행사업무 및 의전비서업무가 된다.

 

나. 내용별 분류

 

다이어그램에서 제시한 바와 같아 의전업무를 야기시키는 관련분야를 예절, 행사, 비서로 설정하고 의전업무의 내용을 구성하는 중심분야를 의전예절, 의전행사, 의전비서로 구분하면 모든 의전업무는 일정한 영역안에 전부 포함된다. 이러한 커다란 틀 안에서 중복문제만 해결되면 이론의 체계화가 가능하다.

 
   (1) 의전예절(Protocol Etiquette)
 
        ○ 예절이야말로 의전업무의 가장 근본이되는 관련분야 이다. 동양과 서양은 문화적 배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전통적인 예절절차에서는 차이가 크겠으나 현대적인 예절의 종류는 매우 유사하다. 한국에서는 예절이론이 잘 정립되어 있으며 ①생활예절, ②의복예절, ③음식예절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서양에서도 예절의 내용을 종합하여보면 이러한 범주에 포함되어있다. 그러나 서양의 생활예절은 사회예절을 중심으로 구체화 되어있다.
○ 생활예절중에서 의전업무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은 기본예절은 의전업무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통례이나 직장예절과 사회예절은 비서예절과 관련성이 많은 분야로서 의전업무에 포함된다. 의복예절중에서도 결혼예복, 파티복등은 의전업무에 포함된다. 또한 음식예절중 연회와 관련된 식탁예절(Table Manners)도 의전업무에 포함된다. 이러한 분야가 의전업무 중심분야라고 할수 있다. 예절중에서 의전업무와 관련된 부분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의례라고 할수 있다. 의례는 다시 민간의례, 국가의례, 국제의례등으로 구분할수 있다. 이와같이 ①의복예절, ②음식예절, ③행사의례, ④비서예절을 통틀어서 의전예절에 해당된다. 본서는 국제의전개론의 입장에서 의전예절중 국내예절을 축소하고 국제매너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 의전업무를 예절로만 설명하면 중심분야(6)를 제외하게된다. 예를 들어서 어느 특정 VIP를 주빈으로 포함할 것이냐 또는 어느 특정행사에 VIP로 참석할 것이냐의 문제는 행사의 목적과 성격, 예산문제, 다른 행사와의 중복문제, 절적한 예우 등이 주요 고려사항이므로 행사주최자측과 행사참석자측의 협의사항이지 예절사항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2) 의전행사(Protocol Events)=행사의전(Event Protocol)
 
         ○ 행사는 여러 가지로 분류딜 수 있으나 ①대규모 행사는 절차가 중요하므로 의전업무에 해당된다. ②격식과 의례를 필요로 하는 의식행사도 의전업무에 해당한다. 모든행사는 대규모화 하거나, 귀빈이 참석하게 되거나, 형식을 가미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의전행사화 할수 있는 요소가 있다. 의전행사는 행사참석과 행사주최로 구분되어 진다. 행사참석은 비서업무분야에 포함 된다. 의식행사.의례행사 역시 공통적사항은 의례부분에서 그리고 절차적,형식적 사항은 행사분야에서 취급하였다. 정부행사개최, 국제회의개최, 연회행사개최 등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행사분야에서 설명하였다. 특히 가장 중심분야(7)는 의례와 격식과 절차를 매우 중요시하는 국빈만찬, 국장행사등은 대규모 의전행사에 귀빈이 참석하는 고도의 의전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본서에서는 대부분의 의전행사를 포함하되 국제행사의 시각에서 재구성 하였다.
○ 의전업무를 행사로만 설명하면 중심분야(5)를 제외하게된다. 예를 들어서 경조사에 축조표시를 하거나 명절에 예를 갖추는 일들이 분명히 의전업무인데도 불구하고 행사의전에서는 이를 설명할 수 없게된다. 앞에서 설명한 의전의 실용적 정의에 의하면 이 부분을 도외시하는 것인데 이는 국가간의 축조서한, 고위급인사의 경조관례등 일반인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3) 의전비서(Protocol Secretariate)=비서의전(Secretarial Protocol)
 
         ○ 비서학에서는 비서업무를 대인업무, 서무업무, 정보업무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대인업무중에서 전화응대, 접대업무 등 ①비서실예절에 관한 사항은 예학과 중첩되는 부분으로서 의전업무에 해당된다. ②또한 서무업무중 각종연회, 행사참석, 각종회의 등 의전행사에 관한 사항은 역시 의전업무에 해당된다. 비서업무에 대해서는 대학교에 전공학과까지 설치되어 있으나 의전비서업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그 이유는 [의전비서실]이라는 별도의 참모비서 조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매우 적으며 또한 의전비서업무기능의 상당부분은 [비서실]에서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전비서기능이 의전업무전반에 걸쳐서 상호작용되는 범위는 간과되고 있다. 우선 의전비서업무도 세분하면 ①순수비서기능, ②순수의전기능, ③의전적비서기능 또는 비서적의전기능으로 나눌수 있다. 본서에서는 국제매너와 국제의전이라는 커다란 구도 속에서  비서분야을 대폭 축소하였다.

○ 의전업무를 비서로만 설명하면 중심분야(4)를 제외하게된다. 예를 들어서 장엄한 의식절차는 행사주최측에서 관습이나 의례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지 행사에 참석하는 VIP와 직접 관련없는 부분을 비서실에서 왈가왈부할 사항이 아니다. 여기에서 VIP라 함은 왕족이나 고위관리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민간부문의 확대로 기업인, 스포츠맨, 예술가등 행사에서 중요시되는 사람은 모두 해당되는 것이다.

 
 다. 성질별 분류
 
의전업무의 내용별 분류와 함께 의전업무의 성질별 분류는 의전업무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된다. 앞에서 설명된 의전업무의 중심분야도 의전요소의 형태와 많고 적음에 따라서 다른 차원으로 분류되어 진다.
 
    (1) 전통의전업무와 유사의전업무
전통의전업무(傳統儀典業務)란 의전업무 중심분야에서 논의된 의례에 관한사항, 의전행사업무에 관한사항, 의전비서에 관한 사항으로서 전문부서에서 담당한다. 유사의전업무(類似儀典業務)란 의전실이나 비서실이 아닌 부서, 예를 들면 총괄과, 총무과등에서 관여하는 의전업무를 말한다. 의전실이 없거나 비서실의 규모가 적은 기관에서는 총무업무편람에서 의전업무를 포함하기도 한다. 경호부서가 있는 기관에서는 경호업무편람에도 의전업무를 많이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한된 범위 이내에서만 의전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2) 병합의전행사와 혼합행사의전
병합의전행사(Combined Protocol Events)란 하나의 단위의전행사(Unit event)와 또다른 단위의전 행사를 연합한 형태로서, 예를 들면 기념식과 리셉션을 연결하여 하나의 병합행사를 이루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확성이 더 많이 요구되며 의전의 역할이 증대된다. 혼합행사의전(Protocol for Mixed Events)이란 행정적요소와 의전적요소가 혼합된 행사형태로서, 예를 들면 오찬간담회와 같이 간담회는 행정사항인데 오찬준비는 의전사항으로서 주무부서와 의전부서의 대등한 협조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3) 국제행사의전과 특수행사의전
국제행사 의전에 대하여도 약간의 용어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국제행사를 중심으로 대두되는 국제의전은 외국의전과 한국의전의 상호관계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국제의전은 다시 국제의례와 국제비서업무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계는 또다시 복잡한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국제의례는 외국의례와 한국의례의 충돌을 조화시키는 것으로서 사교에절, 음식예절, 복장예절등을 들수 있다. 국제행사는 해외방문과 외빈초청으로 구분되고 국제비서업무는 귀빈예방과 외빈접견으로 구분된다. 특수행사에 대해서도 정의가 통일되지 아니하여 그 내용과 성격을 명쾌하게 구분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본서에서는 특수행사의 내용에 축제(festival), 전시회.박람회, 문예행사, 체육행사, 종교행사등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국제행사와 특수행사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국제전시회, 국제문예행사, 국제체육대회등의 경우에는 국제행사인 동시에 특수행사에 해당된다.

4. 의전제도의 발전
 
가. 이론체계의 발전
 
      (1)의전이론의 현주소
의전업무는 이론적체게 보다는 실천적체계를 중심으로 발전되어왔다. 학문(Science)이라 함은 「일정이론에 따라 체계화된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의전업무는 그 대상분야가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의전이론(theory of protocol)은 아직 체계화 되어 있지 못한 단계에 있으므로 의전학(Protocol science) 또는 의전론(protocolology)이라는 용어는 잘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의전관련 대표적인 의전관련 서적은 예학, 비서학, 국제회의론, 연회관리, 이벤트산업론, 기관별 의전편람 등이 있으나 체계적인 의전이론의 입장에서 보면 편람(便覽) 또는 각론(各論)의 형태에 불과하며 종합적인 의전서적은 찾기가 어렵다. 그리고 각각의 편람은 이론적 측면보다는 사례적 측면으로 기술되어 있다.
 
      (2)의전개론의 시도
본서는 의전이 아직까지 독립된 전문분야로서의 학문(as a separate discipline)으로 인정 받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이론적 체계화를 목표로 기술하고 있으며, 현재의 단계로는 총람(總覽)과 총론(總論)의 중간적 성격을 시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총람적 성격이라 함은 기존의 단편적인 의전편람을 모두 종합하려는 의도에서 출발되었기 때문이며, 총론적 성격이라 함은 의전이론의 체계화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국제행사의 산업이 급신장하고 있으며 국제의전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요구에 한발작 더 가까이 다가서고 나아가서는 의전이론의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하는 욕심에서 "국제의전개론"이라는 제목을 채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과 지면의 제약으로 국내부문이 대폭 축소되어 아쉬움이 있다.
 

나. 의전서적의 형태

책에는 두종류가 있다. 하나는 읽기 위한 책이고 또 하나는 참고하기위한 책이다.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Know-how보다 Konow-where와 know-when이 중요해졌다. 의전편람도 백과사전처럼 참고하기 위한 책의 대표적인 경우이다. 철학서적이나 문학서적은 종이책으로서의 존재가치가 계속되고 있으나 참고하기 위한책은 전자책(CD-Rom)에 의해 잠식되고 있다. 의전서적의 미래는 전자책으로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1) 전통적 종이책

         ○ 전통적인 의전서적은 예절관계, 경조관계, 각종의식, 외교의례, 비서업무 등에 편중되어있는 경향이 있다. 현대적인 의전서적은 행사, 연회, 국제회의 분야의 비중이 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정부부문의 의전서적으로는 행정자치부의 「정부의전편람」, 외교통상부의 「의전실무편람」등이 있으나 특정부서 업무 참고용의 형태로 그 내용이 매우 상세하지만 그것은 자료의 성격상 대부분 소량의 비매품으로 출판되고 있으며, 민간부문의 경우에도 「양주입문」, 「호텔연회」, 「국제회의」등 전문적인 특정분야의 서적이므로 일반적인 의전업무 관계관에게 개론형태로 널리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 이와 같이 대부분의 의전관련 서적은 주로 의례와 관련하여 원론적인 면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거나 특정산업 종사자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의전사항이 종합되는 실제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방법과 사례에 대해서는 총괄적인 설명이 불충분하다.

 

     (2) 현대적 전자책

         ○ 전서적은 전자책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분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문자뿐만 아니라 그래팩, 동화상, 음성 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의 도움이 가능하다. ②색인표를 이용한 신속한 정보검색이 가능하다. ③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이용한 자료검색이 가능하다. ④방대한 내용을 종합하기에 분량의 한계가 있는 종이책의 단점을 보완한다.
○ 의전서적은 사례가 중요하며 편람 또는 백과사전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사항은 인터넷 바다에서 북마크로 링크하고 시간을 두고 축적되는 사항은 데이터 베이스화하면 매우 효율적이다. 이를 위하여 홈페이지에 CD-Rom을 결합하면 방대한 자료의 신속한 조회가 가능하다. 전자책은 종이책의 10% ~ 20%에 판매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약1만원 정도의 500페이지 종이책을 2000원 정도 지불하고 30분 이내에 받을 수 있다. 앞으로도 의전서적을 전자책화는 계속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02부터 전자책 산업전이 개최되는등 전자책은 큰폭의 신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교육인적자원부의 '디지탈 자료실', 문화관광부의 '멀티미디어 전자책' 및 '전통문화 전자책'은 정부부문에서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최근의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전자책 콘텐츠의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으며 북토피아에서 개발한 전자책 리더가 개인휴대 단말기(PDA) 또는 휴대폰에 탑재되어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값싼 전자책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종이책을 찾는 이유는 전자책은 반드시 검퓨터와 함께 이동성에 한계가 있으며 개별적인 프린트는 잉크 값이 비싸고, 제본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이다.

   다. 의전제도의 정착


의전업무의 종합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제도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예절제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의전제도는 제정(祭政)이 분리(分離) 되고 제례의식이 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서서히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대사회에서는 법이 예절의 일부로 존재하여 왔으므로 독립적인 의전제도의 정착은 근대적인 법치주의 확립이후로 보아야 한다..

 

      (1) 동양의 의전제도

농경생활을 영위하던 동양에서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예절이론이 일찌기 발전되어 왔으나 이는 정치와 예절의 혼합된 형태로 오래 지속되었다. 동양에서 최초의 예절서적으로 알려진 주자가례에는  주나라의 정치제도가 반영되고 있어 아직도 정치와 예절이 혼합되고 있었다. 중국의 현대적 의전제도는 역사가 짧으며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서양의 의전제도

서양의 예절제도는 기사도 정신과 Lady first 정신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동양에 비하여 늦게 시작되었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근대적 법치주의 확립은 물론 의전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사교의례와 국제의례가 동양보다 먼저 발전하였다. 1815년 비엔나 회의(Vienna congress)에서의 외교관 모임에서 국제의전의 원칙이 정해지고 1961년 비엔나 협약에서 오늘날의 국제의례가 확립되었다(§제9.2절 참조).

 
(3)우리의 의전제도

유교를 창시한 공자(孔子)도 '중국은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군자가 사는 곳인 한국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공자의 생존시에 이미 우리나라는 예절이 행해지던 나라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고구려 멸망시에 당나라 이세적(李世勣)이 우리의 전적(典籍)을 완전히 소실시켜 우리의 예절제도에 대한 기록은 매우 불완전 하다. 그러나 고구려에 전래된 불교는 상례(喪禮)의 간소화와 제례(祭禮)의 형식화로 우리의 효제충신(孝悌忠信) 사상과 잘 융화되지 못하였으며. 김장생(金長生)선생이 주자가례를 바탕으로 선비들의 학설과 우리의 관습을 참작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1583년)와 가례즙람(家禮즙람,1599년)을 펴내어 우리 민간예절 서적의 시초가 되었다. 1844년 이재(李縡)선생이 상례비요와 가례즙람을 다시 쉽게 발췌해서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지어 많이 읽혔다. 그러나 우리가 1910년에 대한제국이 주권을 잃고 정치와 예절은 모두 혼란기를 맞이하였다. 1945년 해방이후 각종 법규가 제정되기 시작하였으며, 가정의례가 허례허식으로 사회문제가 제기되면서 1969년에 가정의례준칙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라. 각국의 의전기관

 

정치제도와 분리된 현대적인 의전제도는 의전관련 법규와 의전관련 기관으로 구분되어 진다. 관련법규는 매우 광범위하므로 해당분야에서 관련사하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본절에서는 의전기관만을 간략히 소개한다.

 

    (1) 한국의 의전기관

신라 진평왕 8년(586년)에 예절을 주관하는 예부(禮部)를 두었다. 고려 고종21년(1234년)에 고금의 예절을 갈무리해 정한 고금상정예문 (古今祥定禮文)50권을 금속활자로 간행했다. 고려 공민왕1년(1352)에 예의추정도감(禮儀推定都監)을 두어 예절을 정립하게 했다.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정몽주선생이 제사지내는 법인 제례규정을 지었다. 조선 성종때(1470년)에 경국대전을 지었다. 1475년에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지었는데 이는 현존하는 왕가의 의례제도의 집대성판이다. 세종대왕(1397-1450)은 왕권중심의 육조직계제에서 의정부 서사제도로 개편하여 훌륭한 유교적 왕도정치를 하였는데, 이때에 유교정치의 기본이 되는 의례제도를 정비 하였다. 오늘날에는 행정자치부에서 국가의례와 국가의전을 관장하고 있으며 외교통상부에서 국제의례와 국제의전을 관장하고 있다.

 

    (2) 일본의 의전기관

일본내각은 국회의원중에서 국회의 제청으로 왕이 임명는 총리대신(總理大臣)과 총리대신이 임명하는 국무대신(國務大臣)들로 구성되는 합의제기관으로서 총리대신이 주재하는 각의를 통하여 권한을 행사하고 있므며, 보조기관으로 內閣官房, 內閣法制局 및 安全保障會議가 있다.  정부의전을 관장하는 외무성 에는 대신관방외에 지역별 담당의 5개 지역국, 사항별 담당의 7개 기능국이 있으며 대신관방 밑에는 의전관(2)이 있다.

 

    (3) 미국의 의전기관

미국무성에는 의전장(Chief of Protocol)이 국가의전 및 국제의전을 총괄하며, 서열과 관행과 절차를 중시하며 국제의례에 관한 이론이 발달되어 있다. 사교매너를 중심으로한 민간부문의 의전도 많이 발전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와 많은 차이점을 갖고 있다.

5. 의전업무 추진요령

 

다양한 의전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관례를 중심으로 다소 실무적인 수준에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의전전문가 」는 의전업무를 총괄하는 과정에서 융통성있는 판단을 위하여 의전외적인 여러 가지 요소를 감안하여야한다. 의전편람이나 과거사례에 일일이 열거되지 아니하는 사항에 대하여 종합적 판단을 내리기 위하여 ①문화요소, ②종교영향, ③의식구조를 이해하고 ④갈등요인을 해소하며 ⑤안보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최근에 발간되고 있는 의전관련 서적에서 문화요소가 많이 강조 되고 있는데 이는 의전업무의 특성을 정확히 간파한 것이다.
 
가. 문화요소의 이해
 
   (1)문화와 의전
인간은 욕망를 추구하는 동물적 존재인 동시에 욕망을 절제하고 순화하는 문화적 존재이다. 「문명(文明civilization)」은 사람의 지혜가 열리고 물질적 생활이 풍부하여지고 편리하게된 상태를 의미하며 「문화(文化culture)」는 문명이 발달되어 인간의 정신적 활동에 의하여 만들어진 학문. 예술, 종교, 도덕. 예절, 의전 까지를 포함한다. 문화인으로서의 삶의 가치와 질서를 추구하는 표현방식의 하나인 의전업무는 인류문화의 변천과 궤를 함께하여 왔다. 문화와 의전은 인간의 생(生) 과 사(死)에서부터 인류역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정신세계를 동일한 영역으로 하면서 발전되어오고 있다.
 
    (2)가치관과 의전
18세기부터 동서문화의 혼합과정에서 국가의례도 그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점차 국제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문화전쟁의 시대를 맞이하여 의전분야에 문화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더한층 증대되고 있다. 문화가 다르면 가치관이 달라지고 가치관이 달라지면 판단기준이 달라진다. 동양은 권위주의, 가족주의, 의식주의가 발달되었으며 서양은 개인주의가 발달되었다. 지역간의 문화적차이는 오늘날 우리가 의전업무를 이해하고 추진하는데 중요한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므로 오늘날 의전담당관들이 이러한 문화요소의 기본적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3)문화차이의 사례
미국, 영국, 일본, 한국등은 「국가」를 중심으로 모든 것이 시작되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가연주, 국기에 대한 경례를 중요시하며 대부분의 유럽국가들은 「국민」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시작되는데 그 의미는 궁국적으로 문화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괌에서의 대한항공 추락사고시 추모행사 현장의 문화충돌은 상호간의 문화이해가 부족한 데서 비롯되었다. 얼굴이 손상된 시신이나 사진을 공개하지 않는 미국의 「원칙」과 시신을 보지 못하면 사진이라도 보아야 한다는 한국적 「정서」가 서로 상층하였다. 미국은 현장보존을 위하여 시신수습을 중단하고 시신사진 공개는 중대한 인격침해라고 하였다. "한국인들은 죽은 사람을 더 소중히 여긴다."면서 결국 유족의 현장접근을 허용하고 시신대신에 사고현장의 흙을 우리 유족에게 내주었다.
 
     (4)문화요소의 적용
국제행사에서는 국가간 문화장벽을 극복하고 원만하게 행사를 추진하기 위하여 문화요소를 상호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내행사에서도 이벤트(특수행사)의 경우에는 행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요소를 적극 활요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의전행사 부문에서도 문화적인 프로그램을 가미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나. 종교의 영향
 
「종교(Religion)」는 절대자를 믿고 숭배하며 마음의 평화를 믿는 정신세계의 한 체계를 의미 한다. 인류문명과 문화발전의 초기단계부터 종교가 발생되었는데 초등종교가 점점 발전하여 오늘날과 같은 고등종교가 생겨났다는 주장이 있다. 우리나라처럼 다종교가 화합을 이루고 있는 나라도 드물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종교적 갈등이 매우 심각한 경우가 많다. 아무튼 의전업무에 대한 종교영향은 의례분야는 물론, 상사의 의사결정과 관련한 의전행사, 비서업무의 양태에 이르기 까지 실로 다양하다.
 
     (1)기독교문화의 영향
서양문화(西洋文化)의 뿌리인 유럽문화는 그리스.로마에서 시작되었으며, 서양의전을 이해하려면 기독교문화를 먼저 이해하여야 한다. 서양의 기독교문화는 우리문화와 우리의전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큰데, 그 한 예로, 1952년의 한 기독교계 신문의 논조를 보면, 한국 기독교연합회가 왜 이승만 장로를 대통령으로 추대하느냐에 대해 '국기경례를 注目禮로 하였고, 국가의식을 기독교식으로 지정하는 등 공헌이 크기 때문이라'고 한 경우를 보더라도 그 영향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천주교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와 융합되어 개신교에 비하여 불교와 유교에 호감을 갖고 있다.

(2)이슬람문화의 영향
동로마제국과 이집트를 점령한 오스만제국의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오늘날 수단, 터키, 이란,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10억의 무슬림이 있다.이슬람문화는 이슬람교와 아랍어에 의하여 특징지어 진다. 이슬람교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대교와 기독교의 영향하에 시작되었다. 하루에 한번씩 마호메트가 태어난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를 향해 예배하고, 9월 한달간 금식기간은 가장 성스러운 행사로서 일출에서 일몰까지는 율법에 따라 음식과 물을 전혀 먹을수 없으며 일몰후에도 극히 소량의 음식과 물만 섭취한다. 이 기간에는 연회행사, 국빈방문이 제한되는 것은 물론 외국인도 이를 위반때에는 처벌되기까지 한다. 「라마단」이 끝난후 3일동안 국민은 우리나라이 설날과 마찬가지로 이른 아침부터 가까운 친지들을 방문해 덕담을 교환하고 음식을 나눠먹는 풍습이 있다. 힘든 금식기간과 신앙생활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을 축하하고 알라신의 자비와 긍휼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시작된 축제이다.
 
    (3)불교문화의 영향
인도는 기원전 900년경 철기문화가 전래되면서 사회구조가 복잡해 갔으며 그 결과 브라만교의 환생설에 의거한 세습적 사회계급인 카스트가 나타나고 힌두교경전이 집대성 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경 카비라국의 왕자 석가모니는 브라만교의 계급사회를 부정하고 일체평등을 주장하며 생사윤회의 고뇌에서 해탈하는 불교가 출현하여 세계로 전파되었는데, 인도내부에서는  쿠샨왕조 말기인 3세기초부터 그 세력을 잃고 힌두교가 다시 이에 대신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윤회와 자비와 무욕을 중요시 하며 살생을 금지하고 채식을 하는 불교문화는 한국에 4세기경 유입된 우리의 문화유산속에 큰 흐름의 맥이 되어왔다. 오늘날에도 석탄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으며, 법구경(法句經)에서는 불자건 아니건 윤리적으로 옳게사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
 

(4)유교문화의 영향
중국(中國)의 신석기문명은 황하유역에서 일어났으며, 정치적 혼란기인 이른바 춘추전국시대(BC770-221)에 공자(孔子)의 유가사상(儒家思想)도 이 때에 탄생(BC 6세기)하여 송나라시대(BC )에 유교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으로 체계화 되었고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이조시대의 통치철학이 되었다. 유교의 기본윤리인 삼강오륜(三綱五倫)은 전통사회의 실천원리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주자가례가 들어온 뒤로 조선시대에는 의례절차의 법식이 확산되어 미풍양속을 확립하였다. 유교사회의 기본구조는 가족제도에 기초하고, 군신관계의 모범을 부자관계에서 찾았다. 유교의 정치이념은 권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민심속에서 천명을 발견하고, 덕으로써 백성을 교화하는 민본사상과 적치주의에 근거한다. 조선후기에는 가정의례(家庭儀禮)를 중심으로 예학(禮學)이 발전하였으며, 유교의례의 핵심인 제사는 국가의례(사직제.종묘제), 학교의례, 향촌의례, 가정의례(4례)로 구분되나 대부분 그 성격은 쇠퇴되었다.
 
    (5)무속신앙의 영향
토속신앙이란 한 사회에 토착되어 신앙으로서 민속신앙 또는 민간신앙이라고도 불리우며, 무속, 주술, 민간의료 따위가 대개 체계화되어 있지 신앙을 말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무속신앙만큼은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주로 민간에서 줄곳 신봉되어오는 전통적인 신앙이다. 교조와 경전은 없으나 「신령」이라고하는 초월적 존재를 신앙대상으로하고 「무당」을 사제로두고 「단골」을 신도로하는 종교이다. 무에는 문자화된 윤리규범이 없으나 내림 굿이란 무당 입무식으로서 몸주신령이 공공연히 확인된다. 무당은 신령에게 기도하고 신도의 재수, 우환, 죽음, 질병, 사업실패, 횐례, 애정문제 등에 관하여 도울 것이 요구된다. 무의 원리는 조화이며 무의 신도인 단골이 무의 조화원리를 일상생활에서 늘 지켜나가려 함은 물론이다. 우리 한국에서는 저승과 이승사이에 중공(中空)이 있어 이승에서 제명을 못살고 억울하게 죽은 영혼은 중공을 헤매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이 응어리져 독기를 품으면 살(煞)이 끼므로 무당을 불러 살풀이를 한다. 살풀이 춤은 소복하고 기다란 수건을 나풀거리며 한을 푸는 무솟춤으로 주검에서 유리된 영혼을 위령하여 살로부터 구제하며 극락왕생하라는 소망을 대행하는 춤이다. KAL 추락현장인 니미츠힐에서도 살풀이 춤이 있었다.
 
다. 의식구조의 영향
 
      (1)의식과 의전
「의식(意識)」이란 사회적 또는 역사적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는 감정.견해.이론 따위를 총칭하는 말이다. 우리의 사고작용의 결과로 얻어진 의식내용이 체계화되어 질 때 이를 「사상(思想)」이라고 한다. 전통의식은 장구한 세월에 걸쳐서 인간의 지혜가 축적되고 절차탁마되어 이루어진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소중한 것이다. 우리는 여러 문화권들의 밑바닥에는 인류문화의 공통적인 의식이 있음을 볼수 있다 예컨데 인간의 생명의 존귀함, 인간의 존엄성, 사랑, 자비, 성실, 희망, 보은, 친절 등의 가치는 확실히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러문화의 공통적 의식은 여러 의전의 공통적 기준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다만 외국의 의전제도를 도입할 때에 자국의 여건과 의식에 조화되는 단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가정생활문화 전반에 대한 의식개혁운동을 전개하여 호화화환, 호화혼수, 호화분묘을 자제하는 실천운동을 구체화하고 있다.
 
      (2)동양사상
류오자오 중국사회과학원 교수는 "21세기에는 동양의 가치들이 서양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역할을 할 것이며, 동양적 가치가 문명을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개인보다는 사회전체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충효, 신의 등을 중시하는 동양사상이 서양의 개인주의적 자본주의의 약점을 보완 극복, 21세기를 주도하는 사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몽고 침략을 피할수 있었던 당시 일본은 군사 막부는 불교를 보호함으로써 불교 대중화에 토착화에 성공할수 있었으며 일본문화는 대부분 불교문화가 되어 의례, 친절, 정직 등도 불교의 영향이다. 동양에서는 유교사상과 불교문화에 의하여 형성된 의식구조로 서양과는 구분되는 사상을 갖게 된다.
 
      (3)서구사상
서구문화는 그리스.로마문화와 기독교문화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유교철학에서는 공동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에 우선 시키는데 반하여 서구식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에 최우선을 두고 있다. 유교적 입장에서는 평형(Parity)을 중시하는데 반하여 서구적 민주주위에서는 평등(Equality)을 강조하고 있다. 동양의 평형개념은 위계구조를 인정하되 각자 지위에 적합한 경의를 주고 받는 복잡한 개념인데 서양의 평등개념은 서열을 중시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서양에서는 동양보다 연령을 덜 중요하게 생각한다.
 
      (4)우리의 전통사상
5000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 에게는 孝사상이 있었고, 여기에 유.불.도의 외래 종교사상이 수용되므로서 오늘날 「충.효.예」야말로 한국사상인 동시에 민족정신이라고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효()란 부모와 자식 사이의 질서를 밝힌 도덕규범으로 자녀가 부모에 대하여 경애의 감정을 바탕으로 행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충효(忠孝)사상은 삼강의 충(忠)과 오륜의 효(孝)에서 비롯되었다. 이 두가지 개념의 상호충돌문제는 충신이 효자의 문에서 나온다고하여 융화를 이루었으나 17세기말부터 실학자들은 국가의식을 가족의식보다 우위에 두고자 했으나 19세기의 개화사상 영향으로 윤리적 가치는 분화되어 충.효.신의 관념이 분리되면서 독립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무리 현대사회가 급변하고 있으나 우리의 전통사상은 우리의 의전업무를 결정하는데 여전히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라. 갈등요인의 해소
예절의 상대방은 개인인 경우가 많으나 의전업무의 상대방은 집단인 경우가 많다. 고차적인 수준에서 의전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는 사회집단간에 존재하는 문화요소와 의식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갈등요인을 해소하는 조화로운 상황인식이 필요하다.
    (1) 문화갈등과 통합이론
종교는 인간의 의식과 가치관을 방향짓는 문화의 모체이다. 현대사회의 대립과 갈등은 종교적 대립과 갈등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사회는 갈등과 통합이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종교적 통합과 문화적 통합은 어려운 것이나 이질 집단간의 의전적통합은 갈등문제를 조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합동장례식을 거행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종교의식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통합이고 조화이며 의전의 역할이 되는 것이다. 다른 문화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고 공존 시킴으로서 의전적 통합을 이루어 내는 것이다.
    (2) 조직갈등과 의전협조
동일 문화권의 단일문족 국가에서도 정부조직 상호관계는 갈등과 통합의 문제에서 예외일수 없다. 이러한 상황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에서부터 국가간의 외교의례나 국제행사에 까지 광범위하다. 조직간의 갈등은 공존보다는 협의에 의하여 조화를 이루어 내야 한다.
 
    (3) 남북한간 의전통합
민족분단 50년 역사속에서 남북한간의 절대적 갈등과 불신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질화, 심지어는 언어의 이질화까지 심화되어 왔다. 먼저 정치적 통합으로서 남측은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그리고 북측이 연방주의적인 「고려민주연방공화국창설안=연방제통일」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사회는 유교적 체계의한 사회적 통합이 유지되어 왔으나 남북한 분단이후 남한은 민주주의 체제에 기초하여 다원주의를 신봉하여 사회적 갈등이 두드러 졌으며 북한은 인민민주주의에 의한 획일체제로 사회적통합이 두드러져왔다. 한반도내에서 남한주도의 급진적 경제통합을 이룬다는 것은 북한경제체제를 시장경제체제로 전환을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남북한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통합보다도 문화적 통합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그 역할이 매우 크다. 남북한 분단상황하에서 의전문제는 국제의례에 의거할 수 있으나 남북한 통합하의 의전문제는 국가상징물의 통합등 여러 가지 숙제가 발생한다.
 
 

마. 안보상황의 적용

 
     (1)안보의 개념
안보상황은 정치일정이나 의전상황에 우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의전상황은 국가재난등 국거적인 안보상황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는데 경험이 적은 실무자 일수록 안보상황의 중요성을 망각하는 예가 많다. 북한의 대남위협으로 국정감사일정이 조정되고, 삼풍사건으로 국회일정이 연기되었다. 국가안전보장(National Secrity)은 군사.비군사에 걸친 국내외로부터 기인하는 각종 위협으로부처 국가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정치, 경제, 사회, 문롸, 군사, 과학기술등 안보요소를 종합운용함으로써 불의의 사태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다.
 
    (2)안보와 의전
의전전문가는 항상 기존의 계획을 예정대로 집행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안보적 위기상황에서는 의전사항을 과감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 아웅산 사건시 전두환 대통령의 해외순방계획은 중도취소 되었다.
○ 한보사태를 맞이하여 김영삼 대통령의 해외순방계획도 결국 취소되었다.
2004년 12월 서남아 지진 해일 참사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한국인이 765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29일 저녁 외교부가 '송년음악회 및 만찬'을 가졌다는 보도를 접한 정치권과 국민들이 분노와 실망감을 쏟아내고 있다.
      ○ 각종재해를 맞이하여 축하성 의전행사를 취소하지 못하고 비난을 받은 사례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의전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적극적인 건의를 통하여 이를 해결하여야 한다.


◈. 결언

가. 중점사항

○ 「의전이란 예절, 행사, 비서의 혼란방지를 위하여 관습, 형식,규칙, 격식, 절차, 규정을 효율적으로 조화시켜 행사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준」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를 좀더 쉽게 표현하면 「의전이란 예절과 격식을 갖추어 주요 참석자를 모시고 행사를 원만하게 처리하는 기준」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 의전의 기능은 의례와 행사의 추진과정에서 야기되는 혼란방지(to prevent chaos)를 목적으로 관습(customs), 의례(courtesy), 형식(form), 절차(procedure), 규례(rules)를 동원하여 인간관계를 원만히 하고, 행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의전은 예절에서 시작하여 행사에서 진가를 발휘하게 되는데,  소극적 기능은 행사업무의 지원기능에 한정하는 것이며 적극적 기능은 행사전반의 조정통제기능으로 확대된다.

나. 연습문제

    ○국제행사에서 의전은 왜 중요한가?
    ○의전의 특성은 무엇인가?
    ○의전업무를 원할하게 추진하기 위한 요령은 무엇인가?

about-us-1